web
obsidian
firebase
vercel
react

2024-07-07

Overview

개인웹사이트를 Astro로 직접 만들기 전, Obsidian Digital Garden 이라는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웹사이트를 만들고 거기에 동적 컨텐츠를 iframe으로 심으려고 했던 기록이다.

Development

한번 만들면 끝나는 웹사이트가 아닌 내가 쓰는 글이 여러 날에 걸쳐 쌓이는 웹사이트, 즉 블로그 웹사이트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했다.

그러다가 Obsidian을 사용하게 되어서 Obsidian 노트를 그대로 배포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Obsidian Digital Garden이라는 플러그인으로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길래 만들어봤다. 이때 파일제목에 문자 잘못 쓰면 배포할때 에러가 난다.

그렇게 만든 웹사이트에 동적 요소를 넣고 싶어졌다. 하지만 어떻게 끼워넣을지 몰라서 일단 대충 iframe으로 끼워넣기로 했다.

iframe으로 넣을 또다른 웹사이트를 만들기 시작했다. DBMS는 Firebase로 하기로 했다. 어떻게 쓰는지 공부했다. React앱을 초기화하고 배포한 뒤 필터링 컴포넌트를 React로 만들고 firebase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컴포넌트에 넣어 보았다.

쓴거 정리

  • 본체
    • 정적사이트생성: (11ty를 사용하는) Obsidian Digital Garden
    • 배포: Vercel
  • iframe 부분
    • UI: React
    • 배포: Vercel
    • DBMS: Firebase